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치매 주범’으로 지목된 설탕…새 연구 결과에 ‘반전’

페이지 정보

작성자 rtrcbodm 작성일25-07-03 18:59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노년기에 설탕이 첨가된 음료를 섭취하더라도 치매에 걸릴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저장대 의과대와 미국 하버드대 공중보건대학원 연구진이 1만974명을 10년여간 추적한 결과 가당 음료 섭취는 치매 위험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 결과는 지난 18일 미국 의사협회 저널 정신의학(JAMA Psychiatry)에 게재됐다.

평균 나이 73.2세인 연구 참여자 1만974명 중 2445명이 추적 기간 치매를 진단받았으며 연구진은 가당 음료 섭취량에 따른 치매 발병률을 비교했다.


설탕 첨가 음료를 주 1회 섭취한 사람이 치매에 걸릴 위험비는 0.99, 인공 감미료 첨가 음료를 주 1회 섭취한 사람의 치매 위험비는 1.00으로 나타났다.

가당 음료를 마시지 않는 사람들과 치매 위험에 차이가 없는 것이다.

매일 1회 섭취하는 그룹의 위험비 역시 각각 0.90과 1.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없었다.

연구진은 “노년기 가당 음료 섭취와 치매 위험은 관련이 없다”면서도 “청장년기에 가당 음료를 마시는 것이 치매에 미치는 영향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설탕은 치매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주목받았다.

설탕을 과다 섭취하면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는데 당뇨가 뇌혈관 질환을 일으켜 치매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또 당뇨에 의해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면 뇌 기능 장애가 생겨 치매 발병 위험이 커진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 당뇨병, 대사 건강 등을 보호하기 위해 당분 섭취를 하루 총 섭취 열량의 10% 이하로 제안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설탕의 위험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노년기에 가당 음료를 마시는 것이 치매 위험을 독립적으로 높이지는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밥·빵 NO! 탄수화물 안 먹어요”…다이어트 하려다 ‘이 암’ 위험 높인다
KIA 조상우, FA 앞두고 절치부심 “전성기 폼으로…가장 까다로운 타자는 ○○○”
만사가 귀찮다는 우리 부모님, 나이 탓 아닌 ‘이 질환’일 수도
[오늘의 운세] 2025년 6월 9일
식습관도 유전?…아빠의 10대 식단이 아이 입맛을 바꿨다
‘얼굴 천재’ 배구선수 임성진, FA도 ‘대박’…8억5000만원에 이적
입에서 기생충이 ‘줄줄’ 경악…한국인 선호 1위 ‘이 고기’ 잘못 먹어서였다
“치킨너깃마저”…미세 플라스틱 줄이려면 ‘이것’ 덜 먹어야
“건강했는데 갑자기 심근경색”…40대 여성이 무시한 ‘경고’ 신호는
[오늘의 운세] 2025년 3월 11일






m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주식회사 제이엘패션(JFL)
  • TEL 02 575 6330 (Mon-Fri 10am-4pm), E-MAIL jennieslee@jlfglobal.com
  • ADDRESS 06295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118, 417호(도곡동,우성캐릭터199)
  • BUSINESS LICENSE 234-88-00921 (대표:이상미), ONLINE LICENCE 2017-서울강남-03304
  • PRIVACY POLICY